MY MENU

연혁

중국근현대사학회 연혁(통합)

2002-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이하 ‘본회’라 함)는 중국근현대사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결성한 학술단체이다. 본회 회칙은 연구자 상호간의 유대강화와 중국근현대사 연구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회는 1992년 1월 10일 창립된 중국현대사학회를 모체로 하며 1998년 4월 창립된 중국근대사학회와 2002년 3월 통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본회의 탄생은 1980년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역동의 소산인 동시에 1991년 소련붕괴와 1992년 8월 한중수교를 비롯한 국제적 조건의 변화에 부응한 결과라 할 수 있다. 1980년을 전후하여 고조된 한국사회 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현실문제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실천에의 욕구를 가진 대학원생들이 폭발적으로 등장하였다. 그들은 1987년 민주항쟁을 전후하여 기성학회의 틀을 벗어나 자신의 열정을 펼칠 새로운 학회를 만들어 활동하기 시작하였는데, 본회는 당시 스승세대가 이를 포용함으로써 성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첫 준비모임은 민두기 교수의 제안으로 1991년 12월 7일 서울대에서 열렸고 이듬해 1월 10일 창립총회가 고려대에서 열렸다. 민두기 교수는 고문으로 추대되고 이화여대 김염자 교수가 초대회장에 선임되었다. 그 후 영남대 이병주 교수, 서울대 윤세철 교수, 고려대 신승하 교수가 각각 2대, 3대, 4대 회장에 선임되어 학회의 기초를 닦았다. 1993년 12월《중국현대사연구회통신》을 창간하여 1995년 5월까지 6호를 발행하고 그해 12월 정기학술지《중국현대사연구》를 창간하였다. 한편 이 현대사연구회에 포함되지 않는 근대사 연구자들은 1998년 4월 25일 숭실대에서 중국근대사학회 창립총회를 열고 숭실대 하정식 교수를 초대 회장으로 선임하였다. 2000년 4월 정기학술지《중국근대사연구》를 창간하였다.

이렇게 각기 탄생한 두 학회는 2000년부터 통합을 논의하기 시작하여 2002년 3월 30일 연세대에서 합동총회를 열고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를 창립하였다. 통합된 정기학술지《중국근현대사연구》가 이미 발행된 호수를 승계하였으며, 초기의 연간과 반년간을 거쳐 이듬해부터 계간으로 발행되었다. 그런 만큼 본회는 회원수와 조직의 양면에서 빠르고 크게 성장하였다. 처음에 40여명이던 회원이 현재 170여명으로 네 배 이상 증가하였다. 2009년부터 편집위원회를 회장/총무의 집행라인에서 분리 독립시켰다. 날로 커지는 국제화 요구에 부응하여, 2007년부터 해외편집위원을 두고 있으며 그들의 도움으로 외국학자의 논문이 투고되고 있다.

본회는 분기마다 정기발표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그중 한번은 지방에서 개최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기획발표를 통해 시의적절한 공동관심사를 다루는 한편 국내/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2001년 시작된 국제학술회의를 징검다리 삼아 중국근현대사 연구자 한일교류회가 2005년부터 성립되어 격년제로 정례화 되었다. 국내외 학술회의 결과는 단행본으로 출간되기도 하였으며 2013년부터 “중국근현대사학회 연구총서”(도서출판 한울)로 간행되고 있다.

본회 회원의 연구대상은 자국사가 아닌 외국사, 그것도 중국 근현대사이다. 그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 우리가 발 딛고 있는 한국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방법이 되어야 한다. 절실하게 묻고 가까운 데서부터 생각하는 “切問”과 “近思”의 실천 속에서만 우리는 연구대상 중국을 보다 나은 내일을 내다보는 “방법으로서의 중국”으로 만들어갈 수 있다. 중국이 미국과 함께 G2시대를 연 지금, 그런 요청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2013. 7)

한국중국현대사연구회 연혁

1991년 12월 7일 서울대학교 IMC관 대형강의실에서 중국현대사연구회 준비모임
(내용) 孫文관계 비디오(NHK 방송) 관람 및 중국현대사연구회 창립에 관한 논의
1992년 1월 10일 고려대학교 인촌기념관에서 제1회 담화회 및 창립총회
(내용) 黃美眞(上海 復旦大) [항일전쟁과 태평양전쟁] 및 회칙안 통과와 임원 선출.
임원 선임: 회장-김염자(이화여대). 고문-민두기(서울대). 운영위원-김염자(이화여대), 백영서(한림대), 신승하(고려대), 윤세철(서울대), 이병주(영남대), 전동현(이화여대). 감사-박준수(춘천교대), 배경한(부산여대) 선임.
1992년 12월 5일 이화여자대학교 학관 4층 교수휴게실에서 1993년도 임원개선 및 사업계획 논의
임원 선임: 회장-김염자(이화여대), 고문-민두기(서울대), 운영위원-김염자(이화여대), 백영서(한림대), 신승하(고려대), 윤세철(서울대), 이병주(영남대), 전동현(이화여대). 감사-박준수(춘천교대), 배경한(부산여대).
1993년 12월 4일 이화여대 인문대 교수연구관 109호에서 1994년 임원개선 및 사업계획 논의
임원 선임: 회장-이병주(영남대). 고문-민두기(서울대). 운영위원-김염자(이화여대), 신승하(고려대), 이병주(영남대, 회장겸임), 윤세철(서울대). 간사-김태승(편집/고려대), 백영서(연구/연세대), 윤혜영(섭외/한성대), 전용만(총무/서강대). 감사-박준수(춘천교대), 배경한(부산여대).
1993년 12월 『중국현대사연구회회보』 창간(1994년 8월 2호, 1995년 2월 3호까지 발간)
1994년 12월 10일 이화여대 인문대 교수연구관 203호에서 1995년도 임원 개선 및 사업계획논의
임원 선임: 회장-윤세철(서울대). 고문-민두기(서울대). 운영위원-김염자(이화여대), 신승하(고려대), 윤세철(서울대), 이병주(영남대). 감사-김정화(충북대), 박준수(춘천교대). 간사-김태승(편집/고려대), 이승휘(총무/세종대), 백영서(연구/연세대).
1995년 분기별 발표회(3/6/9/12월)로 정례화
1995년 6월 17일 이화여대 인문대 교수연구관 109호에서 열린 임시회원총회에서 회칙 개정.
기존의 운영위원회 및 운영위원, 간사의 직제를 폐지하고, 대신에 이사회 및 이사를 신설. 이사회의 이사 수를 15명 이내로 확대하고, 지역적 확산을 위해 지역을 대표하는 이사를 두기로 결정.
1995년 12월 『중국현대사연구』 1집 발행.
1995년 12월 20일 이화여대 인문대 교수연구관 110호에서 1996년 이사회 선임.
이사회: 고문-민두기(서울대). 회장-신승하(고려대). 운영이사회-김염자(이화여대), 김정화(충북대), 민두기(서울대), 배경한(부산여대), 신승하(고려대), 양필승(건국대), 윤세철(서울대), 윤혜영(한성대), 이병주(영남대), 이승휘(세종대), 이양자(동의대), 이홍길(전남대), 백영서(연구/연세대), 조훈(편집/총신대), 김태승(총무/아주대). 감사-박준수(춘천교대), 신일섭(호남대).
1996.3 - 1997. 12. 정례발표회를 학기 중 매월 셋째주 토요일에 개최. 다만 5월과 10울은 전국역사학대회와 동양사학회 추계 연구발표회로 대체.
1997년 12월 13일 이화여대 인문대 교수연구관 105호에서 1998년 이사회 선임 및 회칙 개정.
이사회: 고문-민두기(서울대). 회장-신승하(고려대). 운영이사회-김염자(이화여대), 김정화(충북대), 민두기(서울대), 배경한(부산여대), 신승하(고려대), 양필승(건국대), 윤세철(서울대), 윤혜영(한성대), 이병주(영남대), 이승휘(세종대), 이양자(동의대), 이홍길(전남대), 백영서(연구/연세대), 조훈(편집/총신대), 전용만(섭외/서강대), 김태승(총무/아주대). 감사-박준수(춘천교대), 차웅환(순천대).
1998년 분기별 정례발표회 개최.
1998년 12월 12일 이화여대 인문대 교수연구관 108호에서 신임 이사회 선출
이사회: 회장-윤혜영(한성대). 총무-백영서(연세대). 연구-손준식(중앙대). 섭외-임상범(한신대). 편집-강명희(한세대). 감사-차웅환(순천대), 김태승(아주대).
1999년 6월 19일 한성대학교 강의동 B101에서 “5.4운동 80주년 기념학술대회” 개최.
1999년 12월 11일 정기 이사회에서 운영이사회 확대 개편
고문-민두기, 김염자(신임), 신승하(신임), 윤세철(신임), 이병주(신임). 회장-윤혜영. 운영이사회-김세호(신임), 김정화, 김종윤(신임), 김형종(신임), 박선영(신임), 배경한, 신일섭(신임), 양필승, 이승휘, 이양자, 이홍길, 조훈, 전용만, 박준수. 총무이사-백영서. 연구이사-손준식. 섭외이사-임상범. 편집이사-강명희. 감사-차웅환, 김태승.
2000년 12월 16일 이화여대 인문대 교수연구관 109호에서 이사회 개선.
고문-김염자, 신승하, 윤세철, 이병주, 이양자(신임), 이홍길(신임). 회장-배경한. 운영이사회-강명희, 김세호, 김정화, 김종윤, 김태승, 김형종, 김희교(신임), 나현수(신임), 박강(신임), 박선영, 박준수, 배경한, 백영서, 손준식, 신일섭, 양필승, 윤혜영, 이승휘, 이병인(신임), 임상범, 조훈, 전동현(신임), 전용만, 전인갑(신임), 정문상(신임), 차웅환. 감사-박선영, 차웅환. 총무-김세호. 연구-정문상. 정보-이병인. 섭외-김형종. 편집-전동현.

한국중국근대사학회 연혁

1998년 2월 12-14일 전라남도 화순에서 열린 동양사학회 제17회 동계 학술토론회 참석자 15인이 모여 중국근대사연구모임을 조직하기로 의견을 모아, 가칭 중국근대사학회설립을 추진하기로 함. (참석자: 하정식, 최진규, 장의식, 유장근, 허원, 임상범, 김태승, 박혁순, 김종건, 김희교, 차경애, 박기수, 배경한, 최희재, 이학로)
1998년 4월 25일 창립총회 겸 제1회 학술 발표회를 숭실대학 사회 봉사관에서 개최.
사회: 유장근(경남대)
박혁순(목포대): 역사연구 및 교육에서의 컴퓨터의 활용
이학로(계명대): 1840년대 중국의 아편문제와 청조의 대책
임상범(한성대): 5.4운동기 陳獨秀의 사상에 대하여
총회에서 연구회의 명칭을 중국근대사학회로 결정하고, 유장근 회원이 준비한 회칙(안)을 심의 수정하여 통과시킴. 회장에 하정식(숭실대), 감사에 조병한(서강대) 회원을 선임함.
1998년 5월 회칙에 의거하여 임원을 선출함: 총무이사-최희재(단국대). 연구이사-유장근(경남대). 편집이사-박기수(성균관대). 섭외이사-유춘근(관동대). 지역이사-허원(서원대), 장의식(대구대), 박혁순(목포대).
1998년 12월 12일 후기 발표회 개최(숭실대 사회봉사관: 오후 2:00-5:30)
1999년 4월 24일 춘계발표회 (충남대학교 어학실습실, 오후 2:00 - 5:00)
1999년 11월 27일∼28일 제1회 연구토론회 개최.
장소 : 숭실대학교 사회봉사관
주제 : 갈등과 모색 ―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모
2000년 4월 29일 (토요일) 오후 2:00∼6:00 2000년도 제1회 학술발표회 및 총회.
장소: 대전 한남대학교 사범대학 208호(대전시 오정동)
제2기 이사진의 구성: 회장과 신임이사진 선출.
사회장-하정식. 감사-조병한, 이학로. 총무-유장근, 김형종. 연구-허원, 김희교. 편집-박기수, 이은자. 섭외-유춘근, 김종윤. 지역-표교열, 김성찬, 박혁순, 천성림.
2000년 10월 학회지인 『근대중국연구』의 창간호인 제1집 발간.
2000년 12월 9일 13시∼10일 13시 중국근대사학회 제2회 (동계)연구토론회 개최.
장소: 숭실대학교 사회봉사관 대동강홀.
주제: 중국사교육과 21세기
2001년 5월 12일 오후 2:00∼5:00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장소: 청주시 서원대학교 인문사회관 6층 회의실